동남권 TML 위치 및 관련정보 알아보아요.
안녕하세요? 요즘 코로나 때문에 비대면에 관련된 업종이나 문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죠?
그 중에서도 집에서 모든걸 해결하도록 도와주는 택배기사님들의 수고가 너무 많으신 거 같습니다. 택배기사님들은 코로나가 터진 이후로 매일매일 평균 1시간 이상의 연장근로를 하고 있다는데요. 정말 수고가 많으신 거 같습니다. 코로나가 처음 터졌을 때도 택배 물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서 힘드셨다고 들었는데 요즘도 택배대란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택배 물량이 많이 증가하였고 2주째 택배가 안 온다는 기사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제가 주문을 했을 때 일주일 이상 오지 않아 고생했던 롯데택배 동남권 TMI 위치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.
택배 용어 정리
저희는 택배가 언제 도착하나 궁금할 때 배송조회를 하게 되는데요. 집화,입고, 간선상차,간선하차,터미널,허브(HUB),CP등 모르는 용어들에 머리가 띵하신 경험이 다들 있을 거라 봅니다.저만 그런가요?.... 우선 택배 용어에 대해 알아보시고 자기 물건 잃어버리지 않는 현명한 소비자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.
집화 : 택배사에서 물건이 접수되면 집화라고 입력됩니다. 배송 조회시 집화라고 적혀있으면 배송 시작을 알림
입고 : 집하 또는 운송한 택배화물을 영업소의 창고나 기사님께 인계하는 과정을 말합니다.
간선상차 : '택배가 배송을 위해 차에 실려있습니다'라는 뜻으로 저희 품으로 출발하기 전에 실려있는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. 반대로 상품을 내린 상태는 ‘간선 하자’라고 말합니다.
터미널 :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는 물류 거점을 말합니다.
허브(HUB) : 각 지역에서 집하 된 상품이 모여 분류,출하하는 일을 주 임무로 하며 대형 터미널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.
CP : 지방에 있는 분류소를 허브라고 생각하시고 CP는 수도권에 있는 분류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동남권 TMI 위치
동남권 TMI는 서울 남동권을 의미하는 말로 TML의 뜻은 터미널이라는 뜻으로 물류센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이곳은 롯데,한진,현대 등 같이 이용하는 물류창고로 규모 큰 물류센터입니다. 배송조회 시 동남권 TMI 에서
며칠을 기다려도 오지 않는 다는 분들이 간혹 있으신 거 같아요.
정상적으로는 1~2일정도면 도착하고 만약 2일 후에도 배송이 도착하지 않을 시에는
고객센터에 문의를 넣어 보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.
롯데택배 고객센터는 ‘1588-2121’입니다.
마무리
오늘은 동남권 TML위치의 관한 정보를 다뤄 보았는데요.
간단한 다른 정보로는 택배회사 점유율의 48프로 정도를 CJ대한통운이 차지하고 있고 롯데글로벌로직스와
한진이 약 13프로정도씩 점유하고 있고 우체국택배가 약8프로,로젠택배가 약 7프로로 택배 시장에 진출한
상위 5개 기업이 전체 시장의 90프로 가량을 점유한 상태라고 하는데요.
상당히 대단한 수치라고 생각 됩니다. 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
'정보장터 메인가게.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스토리 블로그 파이프라인 구축하기~ (0) | 2020.10.14 |
---|---|
네이버블로그 파이프라인 구축하기. (0) | 2020.10.14 |
나훈아 테스형 역주행!! (0) | 2020.10.11 |
디지털 교도소가 뭐예요? (0) | 2020.10.10 |
비첩촉 체온계 알아보고 구매하세요. (0) | 2020.10.09 |
댓글